반응형 우리나라 소방1 우리나라 소방의 역사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의 소방 역사에대해 알아보자. 우선 조선시대까지 간략하게 훑어볼 것이다. 추가되는 내용이 있다면 계속 수정하겠다. 목차 1. 삼국시대 2. 통일신라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 삼국시대 병란 등으로 주민들이 인접하여 도성이나 읍성을 짓게 되었고 특히, 신라의 제26대 국왕 진평왕이 직접 화재현장의 이재민을 위문, 구제함을 보아 화재가 사회적재앙으로 등장하게 된 시기이다. 이때 화재의 진압은 도성은 성민들과 군사들이 협동해서, 지방은 부족적 성격에의해 부락단위로 진압하였다. 2. 통일신라시대 헌강왕 때를 보면 지붕을 풀로 덮지 않게 하고 기와로 덮었으며, 밥을 지을 때 불꽃연소하는 나무를 사용하지 않고 무염연소하는 숯을 사용함으로써 화재예방에 힘썼다. 또한, 문무왕 때 경주에 세 번의 화재.. 2022. 9. 11. 이전 1 다음 반응형